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 테스트
- 큐
- list
- 들여쓰기로 표현한 트리
- 자바
- html
- 알고리즘의 조건
- 자료구조
- 태그
- 알고리즘의 조건 5가지
- 알고리즘 표현
- Import
- 스택
- 과일 장수
- 코딩테스트
- itertools
- 유사코드
- 파이썬
- 알고리즘
- 트리
- 유한소수 판별하기
- 리스트
- java
- Combination
- 프로그래머스
- Tree
- LV.1
- python
- import itertools
- 좋은 알고리즘
- Today
- Total
인천의 자유인
[알고리즘] 점근적 표기 본문
알고리즘은 입력 크기가 아주 작을 경우엔 사실 효율성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많은 양의 데이터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래서 이 알고리즘 수행시간을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점근적 분석을 한다.
증가율을 따졌을 때 보통 n, nlogn, n2,n3, 2n으로 표기하곤 한다.
증가율을 그림으로 나타내보자.
이렇게 비교가 된다. 처음에는 크게 차이나는것 같지 않지만 숫자가 크면 클 수록 차이가 어마무시하게 차이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알고리즘 복잡도를 표현할 때에 10n2같은 경우는 n2과 같은 취급 한다. 왜냐하면 처음에는 많이 차이나는 것같아도 n이 커지면 커질 수록 앞의 계수가 두 함수의 차이에 주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제 알고리즘에서 매우 중요하기 쓰이는 3가지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자.
1. O-표기법
읽을 때엔 '빅오 표기법'이라고 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점근적 상한을 나타낸다.
점근적 상한이란 증가율이 적어도 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ex) O(g(n)): f(n)는 적어도 g(n)의 증가율을 넘지 않는다.
2. Ω-표기법
읽을 때엔 '오메가 표기법'이라고 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점근적 하한을 나타낸다.
점근적 하한이라 증가율이 적어도 작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ex) Ω(g(n)): f(n)는 적어도 g(n)의 증가율보다 작지 않다.
3. θ-표기법
읽을 때엔 '세타 표기법'이라고 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점근적 증가율이 이 함수에 비례한다는 의미다.
ex) θ(g(n))은 f(n)의 증가율에 비례한다.
뭔말인지 이해하기 힘들다면 아래 그림을 보자. 그러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알고리즘&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표현 방법 (0) | 2024.08.24 |
---|---|
알고리즘의 정의와 조건 (0) | 2024.08.21 |
자료구조 - 트리(tree)의 표현 방법 (0) | 2024.08.18 |
자료구조 - 트리(tree) (0) | 2024.08.15 |
자료구조(리스트) - 배열 구조 vs 연결된 구조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