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html
- itertools
- Tree
- 리스트
- list
- 알고리즘 표현
- 유한소수 판별하기
- 알고리즘
- Combination
- 프로그래머스
- 자료구조
- Import
- 좋은 알고리즘
- LV.1
- 유사코드
- import itertools
- 과일 장수
- python
- 들여쓰기로 표현한 트리
- 코딩 테스트
- 자바
- 알고리즘의 조건 5가지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의 조건
- java
- 큐
- 스택
- 파이썬
- 태그
- 트리
- Today
- Total
목록Python (64)
인천의 자유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num, total): answer = [] x = -num while True: total1 = total for i in range(x,x+num): total1 = total1 -i if total1 == 0: for j in range(x, x+num): answer.append(j) break x+=1 return answer 먼저 x 변수는 -num으로 만듭니다. 그 이유는 원소 안에 -가 들어 있는 경우가 있고 -total로 하기에는 너무 루프를 많이 돌리게 되어서 가장 적당하게 -num으로 했습니다..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i, j, k): answer = 0 for x in range(i,j+1): answer+= str(x).count(str(k)) return answer i와 j 사이의 숫자를 str형으로 출력해서 그 숫자 안에 내가 원하는 숫자가 몇개 나오는지 count를 통해서 구했습니다.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bin1, bin2): answer = '' number = 0 bin1 = "".join(reversed(bin1)) bin2 = "".join(reversed(bin2)) for i in range(len(bin1)): if bin1[i] == '1': number += 2**i if bin2[i] == '1': number += 2**i div = 0 while True: div = number%2 number = number//2 if div == 0: answer += '0' elif di..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id_pw, db): answer = '' for i in db: if i[0] == id_pw[0] and i[1] == id_pw[1]: return 'login' if i[0] == id_pw[0] and i[1] != id_pw[1]: answer = 'wrong pw' if answer == '': return 'fail' return answer 여기 문제에서 의도하는 바는 bd 안에서 id_pw 하나라도 아이디 비밀번호가 같은 것이 있으면 login을 리턴하는 것이고 아이디라도 같은 것이 있으면(아이디 비밀번호 둘 다 같은 것이 없을 경우) wrong pw를..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babbling): lst = [] words = ['aya', 'ye', 'woo', 'ma'] for i in range(len(babbling)): for j in words: if j in babbling[i]: babbling[i] = babbling[i].replace(j,' ') lst.append(babbling[i]) count =0 for i in lst: if i.isspace() == True: #공백만 있는지 확인 count += 1 return count 먼저 빈 리스트 lst를 만듭니다.그리고 aya, ye..

나의 문제 풀이def solution(numlist, n): numbers = [] for i in numlist: numbers.append(i - n) numbers = sorted(numbers, reverse=True, key=abs) for i in range(1,len(numbers)): if numbers[i-1] == -numbers[i] and numbers[i-1] > 0: numbers[i-1],numbers[i] = numbers[i], numbers[i-1] for i in range(len(numbers)): numbers[i] += n numbers.revers..

나의 문제 풀이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int b) { for (int i = 2; i 첫번째 for문 a와 b모두가 나누어 질수 있을때 하나씩 나눠줍니다. 즉 기약분수로 만드는 것입니다. 첫번째 for문이 완성되면 이젠 두번째 for문으로 가게 되는데 두번째 for문에서는 i가 2로 나누어 지거나 5로 나누어지면 continue로 넘어가는데 만약 나누어지는 수가 2나 5가 아니면 무한소수이므로 return 2를 해줍니다. for문이 끝날때 까지 2나 5로 나누어지는 것만 있으면 return 1를 하여 수행을 종료합니다.

나의 문제풀이def solution(a, b): #1 lst = [] for x in range(1,a+1): if a%x == 0: lst.append(x) #2 for i in lst: if b%i == 0 and a%i == 0: a = a//i b = b//i #3 for x in range(2,b+1): if x%2 == 0 or x%5 == 0: continue if b%x == 0: return 2 return 1 #1번은 먼저 a의 약수를 구하기 위한 식입니다. a의 약수를 차례대로 l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